• 2023. 5. 5.

    by. 수수한.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도약계좌 전에 실시되던 청년지원정책 중에 하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전에

    이미 유지하고 있던 청년희망적금이 있다면 가입이 가능한지 또, 청년도약계좌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썸네일 이미지

     

     

    청년희망적금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해요. 다가올 6월에 실시될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지난번 글에서 알아봤었죠. 알아보다 보니 청년희망적금은 동시에 가입이 안된다고 되어있어서 청년도약계좌와는 뭐가 다른가 궁금했어요. 그래서 이번엔 비슷한 정책인 청년희망적금에 대해서 한번 알아봤는데요. 만약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기타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신 분은 지난번에 써둔 글을 한번 참고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2023.04.21 - [유용한 정보] - 2023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신청 기간 미리 알아보기!

     

    청년 희망적금이란?

    청년희망적금은 지난 정부 시절에 실시되었던 정책으로 아르바이트, 인턴, 2년 미만 계약직 등 단기 일자리 종사 청년들의 소액 자산마련을 돕기 위한 금융상품으로, 시중금리에 저축장려금을 추가하여 제공됩니다. 1년 차 납입액에 대해서는 2%, 2년 차 납입액에 대해서는 4%로 최대 36만 원의 장려금을 제공하며,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를 적용합니다. 다만, 가입 직전 3개 연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됩니다.

     

    청년 희망적금의 자격조건

    이 상품은 총 급여액 3,6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 만 19~34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며, 나이의 부분은 병역 이행 서류를 제출할 시 최대 6년까지 추가 인정됩니다. 


    청년도약계좌랑 뭐가 다를까?

    비슷한 두 가지 제도는 뭐가 다른지 자세히 알아봅시다. '청년희망적금'과 자세히 비교를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에 새로 실시되는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과 중복으로 가입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비슷한 점

     

    두 상품은 적금이라는 점이 공통점이며, '단리 상품'으로 이자가 붙는 방식은 같습니다. 또한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이 있는 것도 두 상품의 공통점입니다. 이처럼 정책의 방향과 방식이 비슷한 상품이기 때문에 중복으로 가입은 되지 않지만 청년희망적금이 만기 되거나, 중도 해지를 통해 해지가 된 경우에는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차이점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는 두 제도 모두 청년 세대에게 관심 있는 정부 지원금 제도입니다. 하지만 두 제도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가장 큰 차이점은 월 납입액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연소득과 상관없이 납입한도가 최대 월 50만 원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개인 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자신의 소득 상황에 맞춰 제도를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 만기기간도 서로 다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2년 만기 상품이지만 청년도약계좌는 5년이 만기 기간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만기 금액이 좀 더 클 수 있지만 만기기간 5년을 채워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맞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 가입 대상 기준도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가입 대상 기준도 새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개인소득 기준 외에도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반면 청년희망적금은 가구소득 기준이 없었습니다. 따라서, 가구 중위 소득에 대한 기준을 미리 알아보시는 것이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시기 전에 꼭 필요한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 

     

    • 정부 지원금 지급 방식도 다를 수 있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2년까지 납입하는 경우 만기 때 한 번에 기여금(최대 36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실시될 청년도약계좌는 현재 매월 지급하는 것을 우선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지원금 지급 방식은 제도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청년희망적금을 바로 중도 해지하시기보다 자신의 재정 상황과 목표, 그리고 정부 지원금 지급 방식을 고려하여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중 적절한 제도를 선택해야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기타 사항과 해지시 유의점

    그럼 청년희망적금은 원래 이자의 이율과 더해서 이자소득에 대한 소득세 해택까지 포함해서 10%에 달하는 이득을 기대할 수 있는 적금상품이었습니다. 이자소득에 대한 이자소득세와 농어촌특별세도과 과세되지 않았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설명 이미지

     

    그렇다면 청년희망적금을 중도에 해지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중도 해지시에는 과세특례 적용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것이기 때문에

    정부 기여금과 더불어 소득세 면제 혜택을 받지 못한다고 합니다.

    정부 기여금은 2년을 만기로 채울 시에 적용되는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다만,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특별중도해지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저축장려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특별중도해지사유에 해당해 중도해지하려는 경우에는 ‘특별해지사유서’ 및 사유에 대한 증빙서류를 은행에 제출해야 한다고 하니 참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해지할까? 말까?

    여러 은행권과 금융당국에서는 다른 특별한 이유가 아니라 단순히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해서 청년희망적금을 중도해지 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잘 고려해보셔야 할 점도 많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기가 5년이라는 점도 유의하셔야 합니다. 의무 가입기간인 5년을 채우셔야 혜택과 세금 감면 등을 받으실 수 있기 때문에 기간도 한번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청년희망적금도 소득세나 지원금이 다른 적금에 비해 훨씬 유리했지만 출시 후 6개월 사이에 30만 명이 넘게 중도 해지했다고 합니다. 이처럼 시기적으로 어려울 수도 있고, 생각보다 5년이라는 기간이 적금으로 계속 들기엔 제법 길기 때문에 이미 청년희망적금을 유지하고 계신다면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후에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